본문 바로가기
심리학

무의식이란

by Market Winners Club 2024. 1. 30.
반응형
무의식

 

무의식 또는 비의식은 자신과 주위 환경에 자각이 없는 상태. 즉, 자신이 의식하지 못하는 두뇌의 활동이며 사고 과정, 동기, 기억 따위 없이 자동적으로 발생하거나 작동할 수 있는 정신적, 심리적 작용이다.

 

프로이트가 제창한 정신분석학이나 카를 융이 제창한 분석심리학에서 무의식은 "마음속의 의식이 아닌 영역"이다. 오스트리아의 신경학자이자 정신분석학의 창시자인 지그문트 프로이트에 의해 대중화되었다. 정신분석학 이론에서 무의식 작용은 꿈이나 농담 따위를 통해 직접 나타난다고 이해된다.

 

뇌신경과학 같은 비정신분석학적 학문자들에서는 무의식적 활동이란 의식적 자각에 전적으로 따르지 않는 정신적 활동을 가리키는 말로써 사용하며 이경우 이를 '비의식'이라는 용어를 사용하기도 한다. 정신분석학에서 말하는 것 같은 별개의 영역으로 서의 무의식 개념이 오이디푸스 콤플렉스 따위의 이론을 전재로 이루어지는 것과 달리 신경과학이나 인지심리학 등에서의 비의식은 그러한 이론과는 달리 경험적이고 과학적인 연구 데이터를 기반하여 다루어야 할 대상으로 본다.

예컨대 인지과학 연구자들은 사람이 의식적 사고를 통해서 얻는 정보보다 더 많은 정보를 의식적 자각 바깥에서 자동적, 비의도적으로 획득할 수 있음을 밝혀냈으며 이러한 것의 주요한 예로 자동적 사고의 무의식적 작용이 언급된다.

 

한편 정신분석학적인 의미에서의 무의식은 그 존재 자체가 의심받기도 한다. 에리히 프롬은 정신분석학자이지만 프로이트적인 의미에서의 무의식을 부정했으며, 모리스 메를로퐁티 같은 현상학자들은 무의식도 '수동적 의식'으로서 결국 의식의 연장이라고 생각한다.

 

명칭

융은 프리드리히 빌헬름 요제프 셸링이 서양의 무의식을 발견자라고 한다. 무의식의 영역을 간단한 표현으로 <무의식(독:unbewusste, 영:the unconscious)>라고 부른다. 여기서 말하는 무의식은 의식되지 않은 마음 (unconscious mind)등 과는 다른 개념이다.

 

의식의 존재

무의식적이 다고는 무엇인가 말하는 것은 그 전제에 의식이란 무엇인가 하고 하는 것의 이해가 없으면 안 된다. 

의식이란, 인간 일반적으로 두고, 내가 의식하고 있으면 의식하고 있을 때 자명적으로 존재 이해되는 무엇인가라고 한다.

이와 같이 의식은 주관적으로 파악되어 왔지만, 근대에 성립한 과학이 그 연구 대상으로 하려면 객관적인 규정으로서는 적절하지 않고 애매하고 한편 정량적 파악도 곤란했다. 그 때문에 마음의 학문인 심리학에서도, 마음이나 영혼, 혹은 의식은 과학적으로 정의되지 않는다고 하고, 자극과 반응 그리고 심리학을 쌓아 올리려고 한 행동주의 심리학 등이 출현했다.

현재에도 마음이 개념과 같이, 의식의 개념도 주관적으로 파악되는 것에 지나지 않고, 그 존재를 객관적으로 파악하는 것이 어려운 것이다고 생각하는 심리학파도 있다.

 

무의식의 존재

무의식의 의미

의식이 없는 상태, 마음속의 의식이 아닌 혹리영역의 두 개의 주요한 의미가 있다.

의식이 없는, 강한 의미로 대뇌의 기능이 거의 없는 상태를 의미한다. 그러나 대뇌의 기능은 인간이 살아있는 한, 완전하게 정지하지 않고, 거의 없다 란 어디까지 없는 것인가 , 객관적인 기준이 애매하다.

 

약한 의미로 의식이 없다 는 경우는 눈치채지 못한다 라는 의미이기도 하다.

예를 들면 음악을 들으면서 책을 읽고 있으면, 처음은 책의 문자의 내용과 음악의 양쪽 모두가 의식된다. 그러나 독서에 집중하고 있고, 문득 무엇인가로 중단되면 음악이 갑자기 들려온다 라는 일이 있다. 음악은 쭉 울리고 있었지만 독서에 집중하고 있었기 때문에 음악의 진행에 눈치채지 못하게 된 것이다.

 

인간은 시간 속에서 매우 다수의 감각자극이나 의미의 자극을 받아 그 대부분을 의식하고 있다. 그러나 의식하고 있지 않다, 눈치채지 못한다 감각 자극의 의미의 자극으로 대뇌는 감수해 기억에 새기고 있는 것은 더 방대한 양이 존재한다. 기억에 관한 심리학의 실험으로부터 그것을 말할 수 있다.

 

의식과 기억 

인간은 여려가지 것을 의식하지만 목전 혹은 지금 여기의 감각적, 의미적 자극의 패턴 이외로 의식하는 것은 광의의 기억이다. 기억의 재생은 어느 말이나 지식들이 재현되기도 하지만 또 내적인 이미지의 형태로 과거의 정경이 생각나기도 한다.

 

기억은 일상적으로 재현되고 있어 복잡한 순서를 필요로 하는 작업에서도 그 하나하나의 순서를 의식하지 않는다로 기계적으로 수행 가는 것이 가능하다. 예를 들면 복잡한 한자를 쓰는 경우 어느 선을 긋고 다음은 어느 선을 어디에 어떻게 추가 기입이라고 등과 하나하나 기억을 더듬고 쓰고 있는 것은 아니다.

 

기억을 상기하고 있다고 하는 의식 없이 매우 많은 일이 이 현재에 상기되어 감정이나 이미지 의미로 구성된 의식의 흐름이 지속되고 있다.

 

그러나 그 외분으로 무엇인가를 생각해 내려고 확실히 알고 있을 것인데 아무래도 생각해 낼 수 없는 케이스가 존재해 이때 의식의 매끄러운 흐름은 막혀 기억을 재생하려고 하는 노력이 의식에 오른다.

 

생각해 내려고, 노력들이 필요한 기억은 매끄럽게 흘러가는 의식의 영역에는 상기가 성공할 때까지는 존재하지 않았던 것이 된다. 그럼 그러한 기억은 어디에 있었는가. 물론 대뇌의 신경세포의 구조 관계의 패턴 속에 존재하고 있었던 것이다가, 주관적인 경험으로서는 그러한 기억은 현재의 의식 영역 밖 전의식이라는 영역에 있다고 여겨진다.

 

무의식의 존재

의식의 대상으로 하는 것은 기억만이 아니다. 또 기억은 어떠한 의미로 구조화 되고 있어 무의식의 영역의 방대한 기억이 어떻게 구조화 되고 있는가 하는 일도 문제이다.

 

인간에게는 경험이나 학습에 의해서 얻은 지식, 기억 이외에 선척적,천성적을 갖추고 있었다고 밖에 말할 수 없는 지식이나 구조가 존재한다. 그 하나의 예는 인간의 언어 이며, 인간의 언어는 현재의 지견에서는 인간 밖에 완전하게는 구사할 수 없다. 놈 톱스키의 생성문법은 인간의 대뇌에 선척적으로 언어를 구성하는 능력 혹은 구조가 갖춰지고 있는 것을 주장하고 있다.

 

아이는 성장과정애서 유한수의 단어를 기억한다. 단어는 단어가 나타나는 문장 문맥과 함께 기억된다.

그러나 아이의 언어 생성능력은 그것까지 들은 적이 없는 문장. 따라서 기억에는 존재하지 않는 문장을 말로서 이야기하는데 있다. 기억한 적이 없는 문자을 아이가 이야기하는 것은 그것은 기억이 아닌 것이며 그러면 어디에서 이러한 문장이 용출하는 것인가.

 

그것은 의식이 아닌 영역 또는 무의식으로부터 용출하는 것이라고 말할 수 있다. 톱스키가 생각한 보편 문법의 구조는 무의식의 영역에 존재하는 정서구조이다. 언어의 자연스러운 생성, 언의의 흐름의 생성, 의식의 밖, 즉 의식의 심층, 무의식의 영역에서 말과 의미를 둘러싼 정서를 하고 있는 것을 의미한다. 

이와같이 의식의 영역에 나타나는 것은 아니지만 의식의 밖의 영역 즉 무의식의 영역에 기억이나 지식, 구조가 존재해 이러한 기억이나 구조가 의식의 내용이나 그 있는 그대로 영향을 미치고 있다는 사실은 가설이 아니고 과학적으로 실증되는 사실이다. 뇌가 없으면 언어는 존재하지 않는 것이니까.

 

반응형

'심리학' 카테고리의 다른 글

고전적 조건형성  (0) 2024.01.31
정신분석학  (0) 2024.01.31
마음의 평정 방어기제  (0) 2024.01.30
나 자신, 자아.  (1) 2024.01.30
심리학의 기원  (0) 2024.01.30